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s140
- 업데이트
- kext
- dsdt
- DS3615xs
- HP MicroServer
- DSM 5.1
- 핵놀리지
- GTX55
- 우분투
- nas
- 핵놀로지
- Cydia
- N54L
- XPEnoboot
- XPEnoboot DSM-5.1.5022
- hyper-v
- 5022.2
- 시놀로지
- 해킨
- DirectX
- 한성
- 해놀리지
- Synology
- DSM 5.0-4493
- Nanoboot
- XPenology
- 5.0-4493 Update 3
- 노트북
- 5.0.3.1
- Today
- 6
- Total
- 298,985
밀어서 잠금해제
Nanoboot upgraded to XPEnoboot 5.1-5022.2 (09/02/2015) 제일 먼저 종료 후 새로운 부트로더로 교체하시고 제일 밑에 설치/업그레이드 메뉴로 부팅을 합니다. 마이그레이션하기를 눌려줍니다! 마이그레이션: 내 파일 및 대부분의 설정 유지를 체크하시고 지금설치 ㄱㄱ 이제 종료 후 부트로더가 다시 시작됩니다. 이제는 그냥 냅두시면 됩니다. 부팅이 끝난 후 최신 버전 자동 설치(권장됨)가 아닌 DSM 업데이트를 다운로드하지만 설치 여부 알림으로 바꾸시는게 좋습니다.(보안상 제일 위에 메뉴가 맞지만 부트로더가 미대응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제 경고가 여러개 뜨는데 다 무시하세요. 제어판 - 업데이트 및 복원으로 가신후 DSM 5.1-5022 update 2를 다운로드..
SCSI 문제도 해결된 모양이고 크게 문제가 없는한 이번 부트로더에서 저도 버전이나 올려야겠습니다 ㅎㅎ 5.1-5022.2 (09/02/2015)Fixed SCSI issues and added SCSI support for Hyper-V* and VMWare.Fixed LSI Controller issues (If you have a problem, please add parameter "rmmod=ata_piix" in Syslinux boot line)Added firmware for some broadcom nic drivers, support more Broadcom nicAdded parameter for reset user password (e.g., if you want to reset p..
기존 부트로더에 문제가 생겨서 패치된 버전이 나왔습니다.최근에 바빠서 글을 확인을 못했습니다.피해가 생겼던 분들은 다운그레이드 후 다시 저 부트로더로 업그레이드 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정보http://www.xpenology.nl/xpenoboot-5-1-5022-1-released/부트 이미지http://www.xpenology.nl/boot-images/DSM 5.1 이미지http://www.xpenology.nl/xpenology-software/설치 및 마이그레이션 방법http://www.xpenology.nl/tutorials/현재 알려진 문제로는 SCSI 미지원 (VMware, Hyper-v, ESXi 사용시 IDE로 가능 다음 업데이트 때 대응 예정)syslog-acc 사용불가 드디어 DSN..
처음부터 제일 도움이 된 블로그 링크: http://blog.naver.com/linlusitania/100202764476한성 홈페이지 믿고 하려다가 뭔가 찜찜해서 찾아보니... X될뻔 했다. 설마해서 찾아보니 제대로된 글이 있었고 따라서 해본거라 사실 한것도 별로 없기도한 그러한 글이다. 일단 그림에 표시한 저걸 뜯어낸다. 키보드는 조심스럽게 분리 해야한다.잘못하면 X된다. 사실 장착샷도 찍어야하는데 멍청하게 까먹고 조립 다 끝나고 생각이 나서 못찍었다... (망함 ㅋ;) 조립이 다 끝나고는 윈도우 PE 부팅 후 고스트로 OS 마이그레이션 중! 뻘글 끗 >_
기가비트 인터넷 신청하고 오늘 설치를 했습니다. 최근에 풀린 기가기트 4포트 모뎀 쓰시는 분들이라면 아마 기사분이 와도 모뎀을 교체도 안할겁니다 ㅎㅎ 그 모뎀이 원래 기가비트 지원하려고 미리 뿌린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맞더군요. 제일 중요한 속도부터 테스트 해봤습니다. 공유기는 디링크 DIR-868L (펌웨어 버전 : 1.07KR 일부로 구형 펌웨어로 테스트, 하드웨어 버전 : A1)테스트에 사용한 장비는 10.9.5 해킨이 깔린 한성 GTX55 노트북이며 무선랜은 기존 무선랜이 아닌 Broadcom BCM94352HMB / AzureWave AW-CE123H 무선랜을 사용 했습니다. 유선 기가비트 테스트입니다. 다운로드는 100~200Mbps 모자르게 나옵니다.(데스크탑으로도 비슷하게 나왔습니다.) 이..
현재 Nanoboot 미지원으로 XPenology 사용자들은 DSM 5.1-5004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상태이다.보안업데이트를 못할꺼라 생각했는데 5.0-4528 Update 2 버전이 올라왔다. 업데이트 내용Version : 5.0-4528 Update 2(2014/11/12)Fixed IssuesEnhanced SSL 3.0 handling mechanism for POODLE vulnerability.Fixed an issue where the passive server, after several abnormal shut-downs, could fail to switch over when the active server is down.Fixed an issue where systems wi..
순정이신 분들은 직접 사이트에서 펌웨어를 다운로드 후 업데이트를 하시면 됩니다. http://ukdl.synology.com/download/DSM/5.1/5004/ 아니면 간단하게 업데이트 메뉴에서도 클릭한번으로도 가능합니다. XPenology 사용자라면 현재 성공했다는 글도 없고 부트로더에서도 베타버전만 지원 상태이므로 하루 정도 기다리면 될꺼같습니다. 자세한 업데이트 내용은 https://www.synology.com/ko-kr/dsm/5.1 직접 사이트 방문 하시면 됩니다.
업데이트 내용 (이번에 생긴 문제 해결 버전) Version : 5.0-4528 Update 1(2014/10/29)Fixed IssuesFixed an issue that could cause DSM to become inaccessible after a system upgrade with a certain type of hard driveFixed an issue where the name of shared folders could be incorrectly displayed, making data inaccessible when connecting via WebDAV protocol4528 유저들은 그냥 업데이트만 눌려도 됩니다.
일단 업데이트 내용은 보안 취약점 패치이므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Version : 5.0-4528(2014/10/22)What’s NewThis hotfix includes all bug fixes as well as security fixes in the previously released critical updates since DSM 5.0-4458.This hotfix will remove the current known malware on your Synology NAS.Fixed IssuesFixed two Linux kernel vulnerabilities that could allow local users to cause a denial of service resulting in uncon..
업데이트 내용이 공개 안된 상태이며 업데이트 6은 생략된거 같습니다.특이하게도 재부팅 없이 바로 업데이트된 후 새로고침으로 바로 이용이 가능합니다.(업데이트 5 -> 7로 갈 때만 재부팅이 필요없음) 급하게 패치해서 그런가 업데이트 내용이 누락된 부분을 추가헀습니다.꼭 업데이트 하셔야합니다.Version : 5.0-4493 Update 7(2014/09/29)Fixed IssuesFixed a potential risk on Bash command shell (CVE-2014-6271 and CVE-2014-7169).